Wonder C.A.T.

Creative Art & Technology

- 원더캣 -

놀라운 로캣성장을 위한 지식 콘텐츠 서비스


평소 궁금했던 기획, 디자인, 마케팅, 개발, 트렌드 등 

비즈니스, IT 분야의 다양한 지식콘텐츠를 공유합니다.

지식과 경험을 나누고 공유하면서 더 나은 성장을 함께 합니다.



Creative Art & Technology

Wonder C.A.T.
원더캣 - 놀라운 로캣성장을 위한 지식 콘텐츠 서비스

Web 오픈 소식


아티클

기획'프로덕트 원칙'을 차근 차근 만드는 4단계

2023-09-20
조회수 133

원문보기



프로덕트 원칙(Product Principles)이란?

원칙이란 일관되게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법칙을 의미합니다. '프로덕트 원칙'이란, 이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들이 '프로덕트를 만들 때 일관되게 지키겠다고 합의한 기본적인 법칙'을 말합니다. 프로덕트를 만들 때 일 관되게 지킬 원칙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1. 사용성이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

2. 우리 프로덕트는 '어떻다'라는 경험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서

사용성이 좋아야 AU 수, Stickiness, Retention이 올라갑니다. 우리 프로덕트는 '어떻다'가 일관되게 보여지 면 Awareness, Loyalty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프로덕트 원칙을 만들 때는 위 두 관점을 분리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Step1. 인지 부하를 줄이는 원칙 선별하기

프로덕트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쉽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지 부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인지 부하란 사람이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인 노력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인지 부하를 줄이는 방법은 이미 검증된 원칙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원칙들을 학습하고, 우리 프로덕트에 적합한 원칙을 선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것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많은 정보나 기능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결정을 내릴 수 없는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사람이 한 번에 인지적으로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는 정보는 최대 7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해당 태스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것만 제공해야 프로덕트가 쉽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프로덕트를 사용할 때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을 때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 인지 부하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측 가능성과 관련된 원칙들을 적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수를 하지 않도록 장치를 제공하거나, 실수를 한 경우에도 돌이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페이지에는 핵심 기능을 한 개만 넣어야 합니다. 프로덕트에 피처가 많아지면서 나중에 추가된 피처를 강조하기 위해 시각적인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모든 피처가 강조되어 중요한 기능이 눈에 띄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UI적으로 정보를 묶고 분류하여 덩어리로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p2. 우리 회사 다움을 보여주는 원칙 만들기

프로덕트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우리 회사의 독특한 아이덴티티와 가치를 반영하기 위해 우리 회사 다움을 보여주는 원칙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컬러, 형태, 글의 투 등을 정의하는 과정으로, 우리 회사에 맞는 프로덕트 경험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인지 부하를 최소화하는 원칙과 달리 절대적으로 맞는 원칙이 없습니다. 각 회사마다 독립적인 원칙이나 가이드라인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브랜드 비주얼 언어, 프로덕트 디자인 시스템, UX 글 작성 가이드라인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칙들은 프로덕트 원칙의 한 계열로 볼 수 있습니다.


Step3. 프로덕트 개발 단계 중 어떤 원칙이 필요한지 매핑하기

프로덕트 개발 단계에서는 어떤 단계에서 어떤 원칙이 특히 중요한지를 매핑해야 합니다. 모든 프로덕트 원칙을 모든 단계에서 지키려고 하면 오히려 성과를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획 단계에서는 요구사항을 정의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정책, 기능, 설명만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프로덕트 기획 문서에 체크리스트 형태로 원칙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정보 구조를 정의할 때 다음 단계를 예측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프로덕트 리더들이 모여 프로덕트 원칙 검수 위원회를 열어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도 있습니다.

UI 디자인 단계에서는 화면을 구성할 때 시각 요소를 묶고 강약을 구분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때 게슈탈트 법칙과 같은 원칙을 이해하고 차용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Step4. 우리 프로덕트에 필요한 원칙만 최소로 남기기

프로덕트 원칙을 정의하는 것보다는 정의한 후에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회사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장치를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 프로덕트 기획 문서에 체크리스트 형태로 원칙을 포함시키기
  • 프로덕트 리더들이 모여 프로덕트 원칙 검수 위원회를 주기적으로 열어 점검하기
  • 강력한 한 사람의 검수자가 주기적으로 리뷰하기

프로덕트 원칙은 인지 부하를 줄이고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러므로 프로덕트 개발 과정에서 적절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취업준비


채용정보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제휴문의


어바웃뉴  |  서현석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305, 2105
사업자등록번호 690-18-01582  |  

통신판매업신고 2022-서울서초-1201  [사업자정보확인]

E-mail : wondercatbox@gmail.com


Copyright by ⓒ About New  all rights reserved.

어바웃뉴   |   대표 : 서현석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305, 2105   |   wondercatbox@gmail.com

사업자등록번호 : 690-18-01582   |   통신판매업 : 2022-서울서초-1201  [사업자정보확인]


원더캣은 상표권, 저작권이 등록되어 해당 법률에 의거하여 보호받고 있습니다. 

Copyright ⓒ About New  All Rights Reserved.